KANGWON NATIONAL UNIVERSITY
첨단생명과학 창의적 인재의 요람분자생명과학과
Department of Molecular Bioscience
「INSIDE K」 개최 안내
산학협력단에서는 실무역량개발-경험-취․창업 지원의 실질적 지원방안을 소개하고 학생들의 취․창업 지원을 위한 새로운 연결고리를 만들고자 아래와 같이 행사를 개최합니다. 1. 행 사 명 :「INSIDE K: Knock on New University」 2. 일 시 : 2025. 9. 25.(목) 14:00 ~ 16:00 3. 장 소 : 글로벌경영관 AMP 컨퍼런스 홀 4. 참석대상 : 강원대학교 학부생, 대학원생 5. 주요내용 : 산학협력 관련 취․창업 특강 및 학생 대상 지원사업 소개 6. 사전 참석조사 : https://naver.me/FXkS6EVw ※ 행사 예상 참여인원 파악을 위해 사전 참석조사를 진행합니다.
2025학년도 전기(2026년 2월) 조기졸업 신청 안내
2025학년도 전기(2026.2월) 조기 졸업 신청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조기졸업을 원하는 학생은 기한 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1. 신청기간: 2025. 9. 22.(월) 09:00 ~ 9. 26.(금) 18:00 2. 신청대상: 6학기 이상 등록하였으며, 재학기간 동안의 성적이 "평점평균 4.0 이상"으로 예상되는 학생 ※ 2025-2학기, 겨울계절학기 성적 포함 ※ 모든 교과목의 성적이 4.0 이상이어야 한다는 뜻이 아님 3. 절차: 학생 신청* → 학과 접수 또는 반려 * 접속 경로: k-cloud → 학부생서비스 → 교과 → 학적 → 조기졸업신청 4. 주의사항 - 조기졸업 신청자는 조기 수료 또는 학사학위취득유예 불가(반드시 졸업해야 함) - 졸업요건 중 단 하나라도 미충족할 경우 졸업 불가(재학생 신분 유지되어 남은 학기 이수해야함) 붙임 조기졸업 신청 안내문 1부. 끝.
[강원인재원] 2025년「생활비 장학금」장학생 선발 공고
강원인재원에서는 도내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생활비 장학금」장학생을 선발하오니 학생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붙임파일 참고하세요!
KNU 1:1 맞춤형 면접 컨설팅 참여자 모집
취업 준비 과정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KNU 1:1 맞춤형 면접 컨설팅」을 지원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가. 프로그램명: KNU 1:1 맞춤형 면접 컨설팅 나. 주요내용 1) 온라인 1:1 맞춤형 면접 컨설팅 2) 이력서, 자기소개서 첨삭 및 구체적 피드백 제공 다. 대상: 강원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 지역 청년(강원도내) 라. 모집기간: 2025. 9. 15.(월) ~ 정원 초과 시 마감 마. 운영방법: 온라인(ZOOM) ※ 세부 내용 붙임 참고 참가 신청 ⇨ 플랫폼 접속 ⇨ 일정 및 컨설턴트 선택 ⇨ 면접 및 자소서 컨설팅 바. 신청방법: https://m.site.naver.com/1Q3vJ 붙임 KNU 1:1 맞춤형 면접 컨설팅 홍보 포스터 1부
우리과 선배! 찾아가는 취업 토크쇼 "취톡스" 참여 안내
▢ 행사 개요 ❍ (행사명) 2025 취UP WEEK 찾아가는 취업 토크쇼; 취톡스 ❍ (대 상) 재학생 및 졸업생, 지역청년 ❍ (내 용) 우리과 선배의 취업 성공 토크쇼 - 직무소개, 취업준비, 회사생활, 취업준비 팁 - 선배들과 자유로운 질의/응답 ▢ 신청 방법 ❍ 신청기간 : ~ 2025. 9. 10(수)까지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https://naver.me/GEiXEOWz - 사전신청자 70명 샌드위치 제공 ※ 신청시 선배들에게 궁금한 점을 알려주면 행사시 답변드립니다. ❍ 참가자 전원 파란만잔 쿠폰(2,500원) 제공
2025학년도 2학기 리더스 취업스터디 모집 안내
□ 사업 개요 ❍ (사 업 명) 2025학년도 2학기 리더스 취업스터디 ❍ (운영기간) 2025. 9. 15.(월)~12. 4.(목) ❍ (신청기간) 2025. 8. 25.(월)~9. 3.(수) ❍ (운영인원 및 대상) 58팀~88팀(총 350명 내외) 구성 - 재학생, 휴학생, 졸업생(2년 이내) - 학년 및 전공 제한 없이 그룹별 4~6명 이내로 구성 가능 ❍ (운영방법) 그룹별 자율 스터디(대면·비대면 혼용 가능) - 1차 기간: 9. 15.(월)~10. 26.(일), 12시간 이상 활동 - 2차 기간: 10. 27.(월)~12. 4.(목), 12시간 이상 활동 ❍ (수료기준) 활동시간 충족 및 중간·결과보고서 제출 ❍ (지원내용) 운영비(장학금 또는 활동지원비), 전문컨설턴트 취업컨설팅, 우수팀 장학금 지급 ❍ (신청방법) [서식1-1] 리더스 취업스터디 지원신청서, [서식1-2] 취업스터디원 인적사항 작성하여 온라인 신청(https://naver.me/5R48P5Nl)
KNU Career Day (KCD) 언택트 특강(2021.11.10.)
◈ 다음과 같이 분자생명과학과 KCD 특강을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일시 : 2021년 11월 10일(수) 오후 5시 2. 장소 : ZOOM 활용한 실시간 화상교육(url 전송) 3. 강사 : 안유경 동문 / ㈜라이카코리아 마케팅부 대리 4. 주제 : 생명과학 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B2B 마케팅
KNU Career Day (KCD) 언택트 특강(2020.10.21)
◈ 다음과 같이 분자생명과학과 온라인 KCD 특강을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일시 : 2020년 10월 21일(수) 오후 5시 2. 장소 : ZOOM 활용한 실시간 화상교육(url 전송) 3. 강사 : 예인비전, 최예인 대표 4. 주제 : 비전디자인, 라이프디자인, 워크디자인
KCD 특강개최(2019.11.20)
.
이정신, 조용준 교수 공동연구팀 「히스톤 변형의 시간차 조합을 통합 유전자 발현 정밀 조절 메커니즘 규명]
의생명과학대학 분자생명과학과 이정신, 조용준 교수 공동연구팀이 병원성 진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유전자 발현이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 조합과 시간차를 둔 전환 메커니즘에 의해 정교하게 조절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이번 연구 결과는 ‘Set1 is a critical transcriptional regulator in response to external signals in Candida albicans’라는 제목으로, 생명과학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Nucleic Acids Research」(IF 13.2, JCR 상위 1.9%) 2025년 7월 22일(화)자에 게재되었다. ‘칸디다 알비칸스’는 인체의 입안, 장, 피부 등에 공생하는 효모균으로, 면역력이 약해질 경우 혈류 등으로 침투해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둥근 효모형에서 길게 뻗은 균사형으로 전환되어 병원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지닌다. 연구팀은 이 같은 형태 전환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로 히스톤 H3 단백질의 K4(라이신4) 잔기에 메틸기를 부여하는 효소 ‘Set1’에 주목했다. 실험 결과, Set1이 제거된 진균에서는 외부 자극이 없어도 균사 형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무분별하게 활성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비정상적인 균사 성장과 병원성 증가가 관찰되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의 초기에는 H3K4 아세틸화가 먼저 일어나 빠르고 강한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고, 이후 메틸화로 전환되며 발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시간차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사실이 규명됐다. 이는 동일한 잔기에서 일어나는 아세틸화와 메틸화의 순차적 변형이 유전자의 반응 속도와 지속성까지 통제한다는 점에서 기존 유전자 발현 모델을 확장하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칸디다 알비칸스’를 후성유전학 연구에 적합한 정밀 모델 생물로 제안하며, 히스톤 변형 조절 메커니즘이 인간을 포함한 진핵생물 전반에 보존된 원리인 만큼, 향후 암, 자가면역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발병 원인 규명과 치료 타깃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정신 교수는 “히스톤 변형의 조합과 시간적 전환이 유전자 발현 조절에 얼마나 정밀한 역할을 하는지를 입증한 연구”라며 “인간 질병 연구에도 응용 가능한 후성유전 조절 타깃을 제시하게 되어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조용준 교수는 “진균 유전체 전반에서 히스톤 변형과 전사 반응을 통합 분석함으로써, 생명현상의 새로운 조절 메커니즘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주은 박사(이정신 교수 연구팀, 제1저자)는 “유전자가 언제, 어떻게 켜지고 꺼지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히스톤 변형의 유무를 넘어서 그 시간적 순서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창의도전연구지원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강원대학교의 ‘G-램프(LAMP) 사업’▲국립보건연구원의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2025-08-19
분자생명과학과 장영생 동문 「국립창원대학교 조교수」임용
의생명과학대학 분자생명과학과 장영생 동문(01학번)이 2024년 9월 2일(월)자로 「국립창원대학교 생명보건학부 조교수」로 임용됐다. - 현재 국립창원대학교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 이학융합학부 장영생 동문 2001년 우리대학 미생물학를 졸업하고, 일반대학원 미생물학과와 분자생명과학과에서 석·박사학위(지도교수 김평현)를 취득했다. 이후, 의생명과학연구소의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점막면역 항상성 유지에 대한 락토페린의 효과’를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현재 락토페린 유래 펩타이드에 의한 항암효과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장영생 동문은 “20여년의 연구 여정 동안 좌절하지 않고 연구를 지속할 수 있게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지도교수님께 감사드린다”며 “이러한 교육 열정을 본받아 후학양성 및 면역학 분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