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자생물학특론(Adv. Molecular Biology) 3-3-0
분자생물학 연구에 적용되는 새로운 방법론 및 최근의 연구경향을 공부한다.
-
면역학특론 (Adv. Immunology) 3-3-0
현대 면역학의 중요 개념을 깊이 있게 다룸. 주요 토픽으로는 innate immunity, specific immunity, immunogenetics, immunochemistry, immunity to infection, hypersensitivity, transplantation, autoimmune disease 등을 포함한다.
-
분자생명공학특론 (Adv. Molecular Biotechnology 3-3-0
세포배양을 이용한 생물공학적인 내용을 강의하며, 특히 재조합세포주개발법, 대규모 배양방법 및 생물공정설계 등을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
바이러스학특론 (Adv. Virology) 3-3-0
본 과목은 바이러스학의 일반적인 개론에서부터 각론 및 방법론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를 심도있게 배움으로써 바이러스학의 전 분야를 이해한다.
-
병원미생물학특론 (Adv. Medical Microbiology) 3-3-0
병원체가 질병을 일으키는 기작을 다룸. 주요 토픽으로는 1) 숙주침입 기작 2)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 3) 면역반응에 대한 병원체의 저항전략 4) 세포와 조직손상에 대한 병리기작을 공부한다
-
바이러스유전학 (Viral Genetics) 3-3-0
본 과목은 모든 바이러스유전자의 특성과 이들의 증식경로를 분자생물학적인 관점에서 공부함으로써 바이러스와 숙주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현대 분자생물학에 많이 사용되는 여러가지 바이러스벡터들에 관하여 공부한다.
-
고등균류학 (Introduction to Higher Fungi) 3-3-0
자낭균과 담자균을 중심으로 하여 분류학적인 구성에 따라 여기에 속하는 균들의 특징을 유전학, 생화학적인 관점에서 소개하며, 이들 균류를 구별할 수 있는 기본적 수준의 형태적 특징을 소개한다.
-
응용미생물학특론 (Adv. Applied Microbiology) 3-3-0
균주분리, 배양과 연계된 변이주개발방법론, 생물제품의 추출 및 정제 등 생물산업에서 전반적으로 필요로 하는 미생물학의 응용분야에 대한 최근의 동향을 강의한다.
-
발효미생물학특론 (Adv. Fermentation Tech.) 3-3-0
발효이론, 발효공정 및 발효산물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강의하며, 발효산업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
공업미생물학특론 (Adv. Industrial Microbiology) 3-3-0
생물산업에 적용되는 최근의 이론과,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실례를 들어서 강의한다.
-
면역유전학 (Immunogenetics) 3-3-0
B cell, T cell의 antigen receptor, 그리고 MHC gene의 다양성 발현기작에 대한 분자생물학을 공부한다.
-
세포학특론 (Adv. Cell Biology) 3-3-0
최근 주목을 받는 중요한 세포현상을 topic으로 정하여 전문지식을 소개한다.
-
진핵생물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of Eucaryotic Cells) 3-3-0
원핵세포인 세균과는 다른 세포구조를 가졌고 유전자의 구조도 다른 진핵세포 생물체에서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기작을 공부한다.
-
유전자발현기작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3-3-0
유전자인 DNA 분자 상에 염기서열로 저장되어 있는 유전정보가 궁극적인 최종 유전자산물인 단백질로까지 발현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한다.
-
분자생태학 (Molecular Ecology) 3-3-0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생태학 연구에 적용시킴으로써 미생물동정, 분포 및 동태를 파악하고 유전자조작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다룬다.
-
점막면역학 (Mucosal Immunology) 3-3-0
점막조직에서 일어나는 특수한 면역반응을 이해한다.
-
에너지대사론 (Energy Metabolism) 3-3-0
생물체가 어떠한 에너지를 이용하고 어떻게 에너지를 얻으며, 이를 위하여 생물체는 어떠한 구조를 가졌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
식물바이러스학 (Plant Virology) 3-3-0
식물에 감염되는 여러가지 종류의 바이러스들의 형태적 또는 분자생물학적인 특성을 공부함으로써 이들이 일으키는 여러가지의 질병 예방 및 치료 등에 관하여 공부할 것이다.
-
유전체학특론 (Adv. Genomics) 3-3-0
유전체란 유전자의 총 집합을 이르는 것으로서 다양한 생명현상을 하나의 유전자가 아닌 유전체 수준에서 이해함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Human Genome Project의 완성으로 인간의 염기서열이 완전히 밝혀진 지금, 이들 유전자들의 기능을 밝히는 연구들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전체학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각종 질병의 원인 유전자 발굴 및 이를 통한 진단, 치료제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유전체학의 제반 방법론, 원리를 공부함으로써 향후 학문 후속세대들이 인류의 질병타파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연구자를 양성함을 그 목표로 한다.
-
줄기세포생물학특론 (Adv. Stem cell Biology) 3-3-0
줄기세포 (stem cell)는 자기증식능력이 있으며 인체를 구성하는 조직,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능으로 인하여 인체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궁극적인 해결방안으로 모색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줄기세포의 특성을 소개하고 각 줄기세포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다룬다.
-
생물정보학특론 (Adv. Bioinformatics) 3-3-0
본 과목은 최근 급증하는 생물정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새로운 학문이다. 많은 생물정보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되고 분석되므로 생물학적 지식 뿐만아니라 통계 및 컴퓨터에 대한 많은 지식이 요구된다. 현재 사용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 원리를 배우며 나아가 새로운 생물정보관리의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단백질체학 (Proteomics) 3-3-0
모든 생명현상은 유전자의 발현 산물인 단백질에 의해 대표된다. 단백질은 유전자와는 달리 동적인 (dynamic) 고분자로서 35000개 정도의 유전자의 수에 비해 그 종류는 10만 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단배질 합성 후 각종의 수식화에 기인하는 것이다. 단백질체학은 생명현상을 단백질의 발현 수준, 수식화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함이 그 목적으로 이러한 단백질체학의 발달은 각종 질병의 원인 단백질 규명,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본 과목에서는 단백질체학의 제반 방법론, 원리들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게 될 것이다.
-
초미세생물학 (Nano Biology) 3-3-0
본 과목에서는 최신 나노기법을 생명과학에 이용하는 원리와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핵산, 단백질 및 탄수화물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바이오센서 이용 원리, 나노표면 개발, 개발된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정량법 응용, 질병진단 기술, 진단칩, 신물질 스크리닝법 등을 다룬다.
-
종양생물학 (Tumor Biology) 3-3-0
종양은 인간 사망의 약 1/3을 차지하는 병으로 그 종류와 원인이 다양하여 현대 생물학에 있어서 가장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이다. 유전체학, 단백질체학의 급속한 발달은 암의 조기 진단, 치료가 일부 암의 경우 가능하여 그 생존률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암은 여전히 치료 불가능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종양생물학은 암 발생의 기작을 분자생물학, 생화학적 관점에서 다각도로 분석, 이해함으로써 인류의 최대질병인 암의 퇴치에 이바지할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함을 목표로 한다.
-
미생물학특론 (Adv. Microbiology ) 3-3-0
본 과목은 미생물생리학, 바이러스학, 생태학, 면역학, 유전학, 분자세포생물학, 균학, 응용미생물학에 관한 최근 연구결과 및 연구동향에 대해 Special topics 형식으로 상세하게 강의한다.
-
신호전달기작 (Signal Transduction) 3-3-0
인체의 다양한 생명현상은 단백질 상호간의 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단백질 상호간의 작용은 매우 복잡한 경로를 통해 다양한 생명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신호전달론에서는 이러한 단백질간의 상호 작용을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질병의 발생원인을 규명함과 동시에 치료제 개발의 근거를 제시해 줄 것이다.
-
바이오의학특론 (Advanced Course on Biomedicine) 3-3-0
생명공학의 발달로 임상의학 분야에 응용이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생명공학이 의학발전에 기여한 점과 연혁을 학습하고,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DNA칩의 기초개념과 진단원리, 다양한 진단방법, 유전자증폭기를 이용한 선천성 유전이상의 판별법, 줄기세포를 이용한 후천적 유전질환의 치료법, 최신생명공학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의학적 이용법 등에 대해서 최신 문헌을 통하여 학습한다.
-
발생유전학 (Developmental Genetics) 3-3-0
고등동물의 발생, 분화기작을 분자유전학 수준에서 이해한다.
-
식물분자유전학특론 (Adv. Plant Molecular Genetics) 3-3-0
식물세포를 이루는 고분자 물질들의 상호작용과 식물세포의 생명현상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발표 수업으로 진행한다.
-
분자생리학특론 (Adv. Molecular Physiology) 3-3-0
생체 내 분자들의 기능과 상호작용을 분자생물학 수준에서 다룬다.
-
신경생화학 (Neurobiochemistry) 3-3-0
신경전달기작과 신호전달기작을 막수용체와 연관지어 최신 생화학 지식을 활용하여 이해한다.
-
세포생화학 (Cell Biochemistry) 3-3-0
세포의 복잡한 생명현상을 최신 생화학적인 지식을 통해 이해한다.
-
분자유전학특론 (Advanced Molecular Genetics) 3-3-0
유전자의 구조 및 발현 현상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한다.
-
분자신경생물학 (Molecular neurobiology) 3-3-0
신경계의 기능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한다.
-
후성유전학 (Epigenetics) 3-3-0
DNA의 염기서열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유전자발현의 조절인 후생유전적 유전자 발현조절은 최근에 질병치료와 줄기세포 연구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 후성유전학의 구체적인 연구분야와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